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oing766

Lascia ch'io pianga by 조수미 Lascia ch'io pianga 나를 울게 하소서 la durasorte e che sospiri la liberta 비참한 나의 운명! 나에게 자유를 주소서 e che sospiri e che sospiri, la liberta 나에게 자유를 주소서 Lascia ch'io pianga 나를 울게 하소서 la durasorte e che sospiri la liberta, 비참한 나의 운명! 나에게 자유를 주소서 Il duol infranga queste ritorte di' miei martiri 이슬픔으로 고통의 사슬을 끊게 하소서 sol per pieta, di'miei martiri 주여, 불쌍히 여기소서 sol per pieta, Lascia ch'io pianga 주여, 나를 울게 하소서 .. 2016. 12. 2.
민무신불립(民無信不立) 논어(論語)에 민무신불립(民無信不立), “백성은 믿음이 없으면 서지 못 한다”고 했다. 어느 날 자공(子貢)이란 제자가 공자(孔子)에게 정치의 목적에 관하여 묻자 공자는 “식량이 족하고 무기가 족하며 백성이 이를 믿도록 하는 것”이라고 했다. 자공이 세 가지 중에서 한 가지를 뺀다면 어떤 것이겠는가 묻자 공자는 “군비(軍備)”라고 답했다. “나머지 두 가지 중 한 가지를 또 제외시킨다면 어떤 것이겠는가를 묻자 물론 식량”이라고 답했다. 백성들이 살아가는데 의식주(衣食住)도 중요하고 외적의 침입을 막아낼 군비도 중요하겠지만 신의(信義)를 잃어가지고는 사회 그 자체가 성립 될 수 없다고 믿음(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한비자(韓非子)에 이풍질지고 이실신오불위야(以風疾之故 而失信 吾不爲也), “질풍(疾風) 때문.. 2016. 12. 2.
목돈 사회 / 정우성 저자는 한국 사회에 도입된 자본주의를 '목돈자본주의'라고 정의한다. 이 '목돈'의 존재가 큰 영향력을 발휘하며 바로 이 '목돈'을 가진 것과 가지지 못한 상태의 차이가 큰 사회적 병폐를 야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목돈자본주의'에 있는 한국 사람들은 돈, 그 자체에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돈의 크기에 좌절하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저자는 '목돈자본주의가' 한국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생각할 여유와 결심하는 마음을 허락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심지어는 "행복추구권을 '경제적으로'겁탈해버린다."고 표현했다. 나아가 '목돈'의 폐해는 스펙쌓기, 엄청난 교육열, 부동산 등의 광적인 투기로 변했다. 특히, 저자는 교육의 목표는 노동 현장에 투입될 인간 부품을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좋은 시민을 양성하는 것.. 2016. 12. 1.
Donnie Darko by Richard Kelly 영화는 산중턱의 도로에서 자전거를 누인채 쓰러져 잠들어있는 주인공 Donnie Darko가 깨어나며 시작한다. 도대체 무슨 영문으로 이 소년은 이곳에서 잠이들었을까? 그리고 으시시한 분위기로 씨익- 웃어대는 이유는 뭘까? Donnie는 1명의 누나와 1명의 늦둥이 여동생을 두고있는 MR. Darko 가족의 둘째이다. 사춘기 소년답게 반항적 성격과 내성적 성격을 지니고 가족에게 연신 Fuck, Bitch를 쏟아낸다.Donnie는 몽유병 때문에 한밤중에 집을 나가게 되었고 꿈인지 현실인지 모르는 어떠한 공간에서 거대한 토끼옷과 탈을 쓴 Frank를 만나게 된다. Frank는 이 때 Donnie에게 28일 6시간 43분 12초후에 세상이 멸망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Frank와의 조우한 뒤 Donnie는 Fr.. 2016. 11. 24.
The Usual Suspects by Bryan Singer 심리 스릴러의 정석이라고 불리우는 작품이다. 산페드로 부두에서 일어난 의문의 폭발 사고로부터 영화는 시작된다. 사고가 일어난 배에는 큰 규모의 마약 밀거래가 일어난 것이라 알려졌다. 그리고 의문의 폭발 사고는 수 많은 사상자를 냈으나 다리를 저는 사기꾼 전과자인 '버벌(케빈 스페이시, Kevin Spacey)'은 유일하게 생존한다. 수사관 데이브 쿠얀은 유일한 생존자인 '버벌'의 증언 속에서 폭발 사고의 유력한 용의자였던 5명에 관련된 이야기를 듣는다. 그리고 수사관 데이브 쿠얀과 FBI 요원 잭 베어(지안카를로 에스포지토, )는 베일에 쌓인 악당 '카이저 소제'의 존재에 대해서 알게된다. 과연 누가 범인일 것인가? 영화의 끝까지 이어지는 긴장감은 관람자의 마음을 요동치게 만든다. 단순하면서도 극적인 사.. 2016. 11. 23.
EBS 통찰 14: 과학이 곧 철학이다. 출연자:최진석 교수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 베이징대학교 대학원 도가철학 박사, 건명원 원장)김대식 교수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교수, 독일 막스 플랑크 뇌과학연구소 뇌과학 박사, MIT Post Doc)김대식 교수 이야기:현대 과학의 탄생지는 그리스이다. 그리스에서는 과학과 철학이 하나였다. 파르메니데스(Parmenides)는 고대 철학자이며 '존재론'에 영향을 미쳤다. '이 세상은 하나다', '존재는 존재다', '존재는 하나다'등의 말을 남겼다. 존재하는 것만 있으며, 존재한다는 것은 이성의 대상으로서 사고할 수 있는 존재와 사고를 동일시하는 입장을 가진다고 이야기하였다. 파르메니데스는 하나와 여러 개 (The One and The Many)라는 책을 남겼다. 이 책은 세상은 단 하나이기 때문.. 2016. 11. 23.
EBS 통찰 13: 인공지능 시대, 인간의 미래 출연자:최진석 교수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 베이징대학교 대학원 도가철학 박사, 건명원 원장)김대식 교수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교수, 독일 막스 플랑크 뇌과학연구소 뇌과학 박사, MIT Post Doc)김대식 교수 이야기:새로운 기술은 새로운 산업을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산업은 국가의 미래를 좌우한다. 대한민국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저는 제 1순위로 인공지능을 뽑겠다. 인공지능이란 용어는 1956년 다트머스 회의에서 시작되었다. 존 메카시, 마빈 민스키를 포함한 다양한 각계 최고 과학자들이 이를 정의하였다. 2차 세계대전때 등장한 컴퓨터는 떨어지는 포탄의 거리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 작업은 원래 천여명의 여자들에 의해서 수행되었는데, 이를 대체하는 것을 컴퓨터가 맡았다.. 2016. 11. 21.
당신 자신과 당신의 것 by 홍상수 감독 화가인 영수(김주혁)는 오늘 아침 어머니가 위독하다는 전화를 받는다. 영수의 마음은 무척이나 심난한데, 동네형 김중행(김의성)이 자기 여친 민정(이유영)의 술버릇과 관련된 뒷담화를 쏟아낸다. 영수는 가슴의 깊은 빡침을 마음에 품고서 민정과 대화를 하려하지만 이에 실패하고 민정은 각자의 시간을 갖자고 이야기하며 극이 시작된다.실제로 민정이인지 아니면 민정이와 닮은 쌍둥이 동생인지 도무지 알 수 없는 아리송한 여자가 등장해 다 늙은 아재 박재영(권해효) 그리고 조금 더 젊어보이는 아재 이상원 (유준상)과 노닥거린다. 이 와중에 왕년에 여자를 좀 후리고(?) 다녔던 영수는 순애보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방황'한다. (영수 어머니는 아마 아들한테 소식도 못들으실것같다...)1. 영수와 민정이 첫 부분에서 말싸움하.. 2016. 11. 20.
EBS 통찰 12: 독립적 주체 출연자:최진석 교수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 베이징대학교 대학원 도가철학 박사, 건명원 원장)김대식 교수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교수, 독일 막스 플랑크 뇌과학연구소 뇌과학 박사, MIT Post Doc)최진석 교수 이야기: 피아노를 잘 치는 사람을 우리는 '피아니스트'라고 부른다. 이 '피아니스트'는 피아노가 가진 기능을 잘 구현하다가 더 이상 구현할 것이 없으면, 한 발자국 더 건너뛰게 된다. 그러면 이 '피아니스트'는 음악을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음악 이론'과 '음악 체계'를 구현하는 단계에 진입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 진입한 '피아니스트'는 '뮤지션'혹은 '음악가'로 불리운다. 이 '뮤지션' 혹은 '음악가'가 또 다시 그 분야에 끝을보면 그 다음으로 '인간'을 표현하는 사람, '.. 2016. 11. 20.
한국에서 가장 접속율이 높은 사이트 500개 목록 다국적 E-Commerce 기업이자 AWS를 앞세워 유통&정보기술 혁신을 일으키고 있는 아마존(Amazon)의 브랜치인 Alexa.com에서 세계별(Global), 국가별(By Country), 카테고리별(By Category)을 기준으로 가장 접속율이 높은 사이트들을 집게했다. 어마어마한 빅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와 처리능력을 갖췄다는 면모를 연신 뽐내는 자료들이다.한국의 경우, 역시 네이버(Naver)가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상위 랭크에 중국사이트들이 많이 랭킹되어 있는데 한국내 증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 수와 대중거래량을 방증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Amazon Alexa는 원통 모양의 IoT기기이다. 이 기기를 통해서 Amazon의 고객들은 '인터넷 검색', '음악 재생',.. 2016. 11.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