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현대 경제를 읽기 위한 최소한의 교양
GDP에 대한 친절하고 간결한 안내서
우리는 GDP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그것이 국내총생산을 의미한다는 것도 알고 있다. 그럼에도 GDP 통계와 함께 보도되는 세계 경제, 국내 경제에 관한 뉴스를 이해하기는 어렵고, GDP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여러 갈등과 논쟁을 이해하기도 힘들다. 왜 그럴까? 이는 우리가 GDP의 표피적인 정의만 알고 있을 뿐, 그것의 중요한 속성과 특징들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 다이앤 코일은 GDP가 그 중요성에 비해 일반 시민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는 문제의식 아래 역사와 개념 설명이라는 씨줄과 날줄로 GDP를 설명해 나간다. 그녀의 역사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GDP의 목적이 무엇인지, 그것이 어떻게 나라의 번영과 몰락을 판단하는 척도가 되었고 더 나아가 정치를 좌지우지하게 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반대로 개념 설명에 귀를 기울이면 GDP가 왜 하루아침에 바뀌기도 하는지, 왜 치열한 논쟁의 대상이 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흥미진진한 이야기와 친절한 설명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현대 경제사에 대한 교양과 경제 뉴스를 읽는 관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목차
머리말 5
1장 GDP의 탄생: 경제성과를 측정한다는 것의 의미 17
‒ 초창기의 국민회계 20
‒ 현대적인 국민계정의 탄생 25
‒ GDP의 기본 개념 39
2장 GDP의 전성기: 성장의 비교 65
‒ 전후의 부흥 69
‒ 우리는 얼마나 잘살고 있는가 73
‒ 나라 간 비교의 문제 76
‒ 국제 비교를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나 85
3장 GDP의 위기: 네 가지 도전 91
‒ 스태그플레이션 96
‒ 냉전의 경제적 결과 102
‒ 환경주의의 발흥 105
‒ 인간 역량 개발 109
4장 GDP의 고민: 혁신을 어떻게 담아낼 것인가 115
‒ 혁신의 등장 119
‒ 신경제 붐 123
‒ 서비스 활동의 측정 126
‒ 혁신을 측정하기 어려운 이유 128
5장 GDP의 반성: 문제와 한계 139
‒ 오만, 미망, 응보 141
‒ 금융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147
‒ 생산의 경계 156
‒ 비공식경제 159
‒ 후생 측정의 어려움 163
6장 GDP의 미래: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가 179
‒ GDP가 넘어야 할 세 가지 산 181
‒ 복잡해지는 경제 185
‒ 모호해지는 생산성 190
‒ 지속가능성의 문제 197
‒ 21세기에는 어떤 국민 통계가 필요한가 203
감사의 글 211
주 212
찾아보기 227
-GDP의 기원은 전쟁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별하기 위해 국내 자원을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GDP = C + I + G + (X - M)
C는 소비(민간의 개인과 가계가 소비에 쓴 돈)
I는 투자(기업이 생산활동을 위해 공장과 설비 등을 갖추는 데 쓴 돈)
G는 정부 지출 (정부가 재화와 서비스의 구매에 쓴 돈. 복지 및 연금 급여와 같은 이전 지급(transfer payment)는 포함하지 않음.
X-M은 수출 - 수입인 순수출액
- 어떤 통계 기법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경제성장에 관한 큰 그림이 바뀐다. 아프리카와 같이 가난한 나라의 경우 GDP 산출에 필요한 기본정보 조사가 잘 되지 않는다. 가나 통계청이 1993년 이래 처음으로 물가지수의 가중치를 최근 실정에 맞게 갱신하며 실질 GDP가 갱신되었다. 가나의 뒤를 이어 나이지리아, 우간다, 탄자니아, 케냐, 말라위, 잠비아에서도 동일한 작업이 진행중이다. 한 추정 자료에 따르면, 이동통신과 영화 등 성장가도를 달리는 산업의 성장률을 GDP에 반영할 경우 나이지리아의 경제규모가 남아프리카공화국에 근접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 전자제품의 급속적인 발전으로 인해 통계청 담당자들은 '헤도닉 가격 hedonic price' 측정이라는 방법을 도입해 품질 향상 속도가 빠른 재화나 서비스의 물가지수를 계산하기 시작했다.
- GDP에 무엇을 넣고 뺄 것이냐 하는 판단은 이른바 '생산의 경계production boundary', 즉 무엇을 경제적 산출로 간주할것이냐 하는 문제와 관련 있다.
- GDP 측정에 문제가 되는 세 가지 이유
1. 경제의 복잡성: 혁신과 신제품 및 서비스의 도입 속도가 빨라지며, 세계화와 더불어 제품의 제조도 전 세계를 아우르는 복잡한 생산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2. 물리적인 상품 대신에 서비스와 '무형 상품'이 선진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높아지는 현상: 일례로 가격이 부과되지 않는 온라인 활동은 질과 양을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심지어 양이라는 것 자체를 생각할 수 없다.
3.시급해지는 지속가능성의 문제: 자원과 자산의 고갈은 미래에 GDP가 성장할 여지마저 붕괴시키는 만큼,지속가능성에 큰 관심을 두어야 한다.
댓글